출처 : 아름다운황혼열차(黃昏列車)
글쓴이 : 석양*노을 원글보기
메모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는 것을 보고 세상의 이목(耳目)이 이성계에게로 쏠리고 있었다. 처음에는 이씨(李氏) 성을 가진 사람이 새로운 나라를 건설할 것이란 소문을 차츰 날이 갈수록 이씨란 곧 자신을 두고 일컬음을 알고 난 후부터 점차 때로는 꿈에서도 일국을 건설하여 용상에 앉아 있는 자신의 의젓함을 보기도 했고, 양이 싸우다 두 개의 뿔이 부러져버린 일이나, 이성계에게 왕이 될지도 모른다는 결정적인 감동을 준 것은 항간에, 다시 회복시켜 정사를 펴나가리라."는 소문이 나돌면서였다. 였으므로 언제쯤인가 제왕이 되어보겠다는 대야망을 마음 속에 품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꿈속에서 불이 훨훨 타고 있는 집에서 서까래 3개를 짊어지고 세상사 일을 거울처럼 훤히 내다본다는 무학대사(無學大師)를 찾아가 이성계의 이야기를 신중히 듣고 있던 무학대사는 느닷없이 자리에서 일어나 그러자. 이성계는, "대사님, 왜 이러십니까? 이 다 끝나기도 전에 "상감마마가 될 것이외다." 하고 신중한 어조로 그리고, 그 연유를 하나하나 설명하기 시작했다.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암시 인데,아마 두 개의 뿔이 빠진 것 이외에 이성계는 무학대사의 말을 듣고 꿈속에서 있었던 일을 골똘히 생각하고는 대사님! 정말 대사님은 하늘과 사람, 그리고 신(神)을 삼합(三合)하여 무학대사를 극찬한 이성계는 무학대사가 말한 대로 꿈속에서 서까래를 무학대사는 그 연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옛날 중국 한나라 시대에도 귀공(貴公:이성계)의 현몽에서와 같이 유방(劉邦)이 정자에서 낮잠을 자고 있는데 양거각미(羊去角尾)라 하여 양의 두 개의 뿔과 꼬리가 빠져있는 것을 보았는데, 그 꿈의 해몽을 당대 유명한 역술가(易術家)에게 부탁한 결과, 절미(去頭截尾)가 되었으니, 이는 필연적으로 임금 왕자(王字)로 장차 비답(泌答)을 내렸던 바 후일에 한왕(漢王)이 되니 장차 임금이 될 것이오. 않으면 귀공과 내가 밀약(密約) 하심을 어찌 생각하시오. 무학대사와 이성계는 그 자리에서 이성계가 임금이 되지 못할 경우, 무식쟁이 돌중, 그리고 대사의 돼지 같은 얼굴 생김을 들어 미륵돼지 등 놀려주어도 달게 받을 것과 모시겠다는 둘만의 밀약을 하였다. 이성계는 자리에서 일어나 밖에서 기다리고 있던 군사들과 못하고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얼굴에 웃음을 가득 지었다 그러자. 이성계의 부장(副將)은 이성계의 마음을 읽고 있었는지, 짚어내면 그 짚어낸 글씨를 여러 각도로 분리시켜 인간들의 앞날을 훤히 (破字正斷)으로 이름이 나 있는 걸승(乞僧)이 있다는데, "뭐 그게 그렇게 대단하다고?" 하며 슬며시 사양했다. 그러나. 부장은 이성계의 마음 속을 꿰뚫어 보고 있는 터라 이성계에게, 대신 안변을 다녀올까요?" 하고 슬쩍 말하자, 이성계는 큰소리로, 로운 일에 심신을 쓰다니" 하고 부장을 힐책하면서도, 같이 가십시다." 하면서 은근슬쩍 으름장을 놓았다. 수소문 끝에 유명하다는 걸승의 거처를 찾아갔다 산기슭에 토굴을 파고들어 앉아 있는 걸승은 중이라기 보다는 거지 중에서도 상거지라고 하는 게 훨씬 적격인 듯이 보였다. 이성계 자신은 물론이고 같이 간 군졸까지도 허수름한 백성으로 변복을 하고 서 있었기 때문에 누구도 이성계란 인물을 알아 볼 수 없었다. 걸승이 있는 토굴 앞에는 순서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웅성웅성 모여 서 있었고 사람들은 혀를 차며, "어쩌면 그렇게 귀신같이 꼭 맞추는지 모르겠다?" 라며 이성계도 다른 사람과 같이 줄을 서 있다가 차례가 되어 굴 안으로 들어갔다. 이성계는 그가 어떻게 정단을 하고 있는가를 유심히 보았다. 걸승은 먼저 와 있는 남자에게 당신이 큼직큼직하게 써 놓은 여러 가지의 골라 짚으시오." 하고 말하자. 그 남자가 짚었던 문자(問字)를 한참이나 들여다보고 있더니 갑자기 친구여 내 친구로구먼!" 걸승의 이와 같은 큰 소리에 어이가 없다는 듯이 이셔유?" 하고 반문하자. 걸승은 재차 큰소리를 치며, "당신 거지 아니야? 걸승의 말에 감탄한 사내는, "대사님, 맞습니다. 오랑캐들이 쳐들어 왔을 때 처자를 잃고 한을 가슴에 안은 채, 하늘을 하며 살아왔습니다." 하며 눈물을 흘리며 그 남자는 그만 토굴 밖으로 나가버렸다. 그러자. 지금껏 기다리고 있던 여인이 걸승 곁으로 다가가서 세상살이가 즐거운 일이 있을까 하는 뜻에서 즐거울 락자(樂字)를 짚었다. 걸승이 추상같은 목소리로 말을 하는 동안 여인의 눈에는 어느덧 눈물을 흘렸다. 원망하는 목소리로, "그래요. 도사님. 남편은 약초를 캐러가서 목매달아 어떻게 그런 것까지 아시나요? 정말 신기하네요? 여인의 이 같은 말에 걸승은 가파른 절벽에서 쏟아지는 폭포수와 같이 그 목부위 양쪽에 흰 실타래가 있어 이는 마치 목을 맨 끈과 같고 사람이 죽으면 죽은 이의 칠성판(七星板)과 같으니 이 모두를 종합해보면 칠성 판에 누워있는 게 아닌가? 헛허허…하는 것이었다. 여인이 토굴을 나가자. 이어서 이성계가 허름하고 초라하게 보이려고 토 굴 벽 쪽에 기대놓고 걸승의 면전에 정숙한 모습으로 앉았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세워 논 막대기가 옆으로 댕그렁하고 토굴 바닥으로 쓰러졌다. 찬밥 한 덩어리를 볼이 터지도록 입 속으로 밀어 넣고 허리에 차고 있던 입에 갖다대고 절반은 흘리면서 절반이나 겨우 마시는데 지저분하기 그지없었다 그런데, 이성계는 아까 걸인이 짚었던 물을 문자(問字)를 짚었다. 걸승은 큰 소리로 파안대소(破顔大笑)를 하면서, "지존이요, 지존(至尊)!" 이성계는, "지존이라니요, 대사님! 그게 무슨 말씀이십니까 그러자. 걸승은 방금 까지 만도 미친 듯이 파안대소하던 모습을 바꾸어 짚은 물을 문자(問字)는 좌군우군(左君右君) 상(象)이므로 이는 장차 임금이 될 상지락(一杖土上之落) 또한, 필유지존지인(必有之尊之人)이니 장차 임금이 없소이다." 라며 단호한 어조로 장담했다 그러자. 이성계는 걸승에게, "같은 물을 문자(問字)인데, (門前口置) 문전걸인(門前乞人)이라고 하시고, 이제 와서는 좌군우군(左君右君) 침착해지며, "해와 달이 춘하추동을 이루고 세상만유(世上萬有)는 돌고 돌아 귀공께서는 임금 왕자 곁에서 똑같은 물을 문자를 짚었으니 좌군우군, 이성계는 걸승의 이야기에 이해가 가는지 고래를 연거푸 끄덕대며, 대사님. 방금 말씀에 임금 왕자 곁에 앉아 있다고 하셨는데, 이성계의 말이 끝나기도 전에, "헛허허……. 하고 웃어내던 걸승은, "바로 일장토상지락(一杖土上之落), 즉 한 개의 막대기가 흙(土)위에 아니고 그제야 이성계는 속이 후련한지 걸승에게 자신이 항간에서 말한 그러자. 걸승은 처음에는 몰랐지만 나중에 나타난 자괘(字卦)를 보고 알았노라고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그러면서 마지막으로 당부했다. 물을 문자를 자세히 보면, "한 임금(君)은 분명하나 또 다른 임금(君)은 흙(土)위에 막대기(一) 하나를 더하니 이는 완벽한 임금 왕(王)자가 되므로 토굴에서 나온 이성계는 자신이 임금이 되는 것은 하늘의 소명이라 확신하고 그 기회만을 노리고 있던 차 마침내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임금이 되자마자. 전의 밀약대로 무학대사를 왕사(王師)로 봉했고, 혁명으로 왕권을 찬탈한 일이며, 이성계가 물러나자 왕위 찬탈을 목적으로 국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아름다운 황혼열차◈ |
[스크랩] ◈한국을 빈곤에서 잘살게만든 영웅◈2018.12.13. (0) | 2018.12.13 |
---|---|
[스크랩] 세계적인 인도 최고의 정력 맨 (0) | 2018.12.11 |
[스크랩] 소강절(邵康節)의 예언 (0) | 2018.10.13 |
[스크랩] ◈세계에서 유명인들의 옛날 사진들◈2018.10.9. (0) | 2018.10.09 |
[스크랩] 강한 의지로 세운 나라 (0) | 2018.09.04 |